순수예술 지원 늘리고, 청년·지역 문화반경 넓힌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최고의 예술, 모두를 위한 문화’를 위한 ‘문화예술 3대 혁신전략, 10대 중점과제’를 발표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8일 서울 서대문구 모두예술극장에서 ‘문화예술 3대 혁신전략, 10대 핵심과제’를 발표하고 있다.

이번 정책에는 새 정부 국정과제인 ‘예술인 지원체계 구축’과 ‘보편적 문화복지 실현’ 방안이 담겨 있다.

이를 위해 총 74차례의 현장방문을 진행해 문화예술계의 의견을 수렴했으며, ▴’최고의 예술, 모두를 위한 문화’를 문화예술정책 비전으로, ▴’세계를 가꾸는- 국가명예에 걸맞은 품위 있는 예술인과 단체’, ‘국민 여러분, 전국 어디에서나 문화예술을 마음껏 즐기자’를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3대 혁신전략과 10대 중점과제를 선포합니다.

목표.

예술인 지원 혁신 ➊ 미술 지원 확대 ➋ 예술창작 지원 방식 개선 ➌ 신진예술인 육성 ➍ 한국 문화예술 해외진출 지원 국민 문화 향유 환경 혁신 ➎ 잠재 관객 발굴 ➏ 눈멀지 않는 향유 지원 명소 ➐ 문화를 통한 지역균형발전 ➑ 지역별 문화예술 인프라 조성 문화예술 정책구조 혁신 ➒ 대표기업 및 축제 브랜드로 전면 개편 ➓ 문화예술 지원체계 개편

예술가 지원 혁신 ▮ 다년간의 대규모 지원을 통한 세계적 수준의 예술가 및 작품 창출. 첫째, 미술계의 요구와 요구를 반영하여 작가 지원 방식을 개선하겠습니다.

세계적 수준의 대표작을 창작하고 미술계의 장기적인 역량을 높이기 위해 현재의 개인별 소규모, 다중 사례, 일회성, 직접 지원 방식을 대규모 프로젝트, 다중 프로젝트로 전환한다.

-연도, 간접지원 방식. 2023년부터 문화예술진흥기금(이하 ‘문예기금’)을 건당 평균 3천만원에서 지원수준을 높여 사업별로 대규모 사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겠습니다.

또한, 예술가들이 다년간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이어가고 대표작을 창작할 수 있도록 문학예술기금 내 다년간 지원사업 비중을 2024년 15%부터 시작한다.

▮’24 국립예술단 청소년교육단위를 3배 이상 늘려 젊은 예술인의 성장을 지원하고, 문학, 시각, 공연 등 창작활동을 위한 공간 제공을 대폭 강화한다.

(2023년 27억 → 2024년 100억, △270%), 국립 예술단체의 청소년 교육위원을 2020년 이상으로 늘리는 등 간접지원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4년까지 3회(2023년 95명 → 2024년 295명), 재능 있는 젊은 아티스트들이 무대 기회와 경험 확대를 통해 세계적인 아티스트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24년 파리올림픽 등 글로벌 행사에서는 국내 예술단체(국립오페라, 국립심포니, 국립현대무용단, 국립발레단) 공연, 한국 미술 대표 작품 전시 등 14개 문화예술 행사가 현지에서 개최된다.

178억 원)을 통해 K-art, K-culture의 영역을 확장하고, 아티스트의 활동 범위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국민 문화 향유 환경 혁신 ▮청소년(19세) 16만 명에게 ‘문화예술 패스’ 지원, 지역 공연·전시 관람 기회 확대. 성인이 되는 청소년(19세) 16만 명에게 공연과 전시를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청소년 문화예술 패스’를 도입한다(2024년까지 170억 원, 1인당 최대 15만원). 단일연령 청소년 문화패스를 지원하는 이탈리아(18세, 500유로), 프랑스(18세, 300유로) 등 해외 사례를 참고해 직접 문화예술 활성화로 미술 시장을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잠재적인 청중인 젊은 층의 소비. 저도 기대하고 있어요. 내년부터는 서울에 가지 않고도 대도시에서 최고 수준의 대규모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아질 예정이다.

2024년 새롭게 추진되는 ‘전국 문화예술 유통 지원사업(400억원)’을 통해 생활밀착형 지역 등 문화서비스 분야에서 1억~6천만 원 규모의 소규모 공연·전시가 개최된다.

인구가 감소하는 가운데 중소도시에서는 2억~5억 원 규모의 중규모 공연·전시가 열린다.

행사 개최를 지원하고, 전국 예술단체의 10억 원 상당 공연 배급을 광역시 대표 공연장에 지원하여 사각지대 없는 문화 향유 기반을 조성합니다.

▮신규 추진분야에서는 발레단, 오케스트라 등 다양한 장르의 지역 대표 예술단체 육성도 추진된다.

발레단, 오페라단, 오케스트라 등 운영성이 높은 다양한 장르의 예술단체 설립 및 운영을 돕기 위해 ‘지역대표 예술단체 육성’ 신규사업(180억원, 지방비 50%)을 추진하고 있다.

소송 비용. 문화예술 인프라가 열악한 10개 지자체를 선정하여 국비를 바탕으로 연간 최대 20억 원을 지원함으로써 지역 예술계의 자생력을 높이고 시즌별, 프로젝트별로 회원을 자유롭게 채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청소년을 지원합니다.

아티스트에게 더 많은 기회가 주어졌으면 좋겠습니다.

▮전국적인 문화예술 인프라(인프라) 조성을 위해 2030년까지 총 1조 5천억 원을 투입합니다.

2030년까지 서울(노후공간 재편) 1조 5천억원 투자, 경기·강원권(서울 인접지역 활용 개방수장시설 및 공연장 조성), 경상권(구 경북도청 문화공간화), 충청권(구충남도청 문화공간화), 전라·제주권(구전남도청 복원) 등 국민 문화향유 여건 개선을 위한 새로운 민족문화예술공간도 조성된다.

그리고 예술. 문화예술 정책구조 혁신, 중소기업과 축제의 융합, 웰컴대학로(연극) 등 장르별 대표 브랜드로 재탄생. 연극과 공연은 ‘웰컴 대학로(10월)’와 서울국제공연예술제(10월), 서울예술단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마켓(10월) 등, 국립 예술단체 교육단체를 활용해 ‘심포니 페스티벌(4월)’을 중심으로 실내악 공연을 개최해 클래식 음악을 일원화, 집중 육성하며 장르를 대표하는 브랜드 페스티벌로 성장하고 있다.

▮유통, 향유, 국제교류 업무의 통합 등 문화예술 지원기관의 전문성과 책임성을 강화한다.

내부적으로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경영지원센터 등 주요 기관의 문화예술지원 공모사업 심의에서 10년 이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임직원이 참여하는 ‘책임심사제도’를 도입하여 심의의 전문성과 책임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분산된 문화예술 유통, 향유, 국제교류 지원 기능을 일원화하여 통합 지원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의 전략적 발전을 지원할 대표 문화예술 지원기관을 육성할 계획이다.

또한, 향후 새롭게 건립될 당인리 문화창작발전소, 서계동 국립공연예술센터 등 국가 문화예술시설의 경우 전문운영법인 ‘(가칭)문화예술회관’을 운영한다.

예술단지관리센터’를 설립해 문화예술의 전문적인 관리와 운영을 지원한다.

의 전략적 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지원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유인촌 장관은 “문화예술계와의 폭넓은 협의를 통해 수립된 이번 정책은 그동안 논의된 다양한 현안을 반영해 윤석열 정부의 문화예술 정책 비전과 목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문화예술계에서. 문화예술계가 확 달라졌다는 것을 예술가와 대중이 체감할 수 있도록 제대로 홍보하겠습니다.

이어 “2023년에는 문화예술계와의 만남과 정책수립에 집중했다면 2024년에는 여기에 담긴 핵심과제를 모두 실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